통합 검색

통합 검색

남양주백봉초등학교 학생들의 수업소감문 분석결과입니다.
  • 작성자 교육강사
  • 조회수 36
2025-06-29 20:56:33

학생 소감문 종합 분석 결과

 

이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나무의사'라는 직업을 소개하고 나무의 소중함을 일깨우는 교육 프로그램으로, 학생들의 반응은 압도적으로 긍정적입니다. 분석 결과, 프로그램은 설정된 교육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했으며, 특히 학생들의 인식 변화와 흥미 유발에 큰 성과를 거둔 것으로 보입니다.

 1. 핵심 성공 요인 (Key Success Factors)

 분석 결과, 프로그램의 성공은 다음 4가지 핵심 요인에 기인합니다.

 가. '나무의사'라는 새로운 개념의 충격과 흥미 (가장 많이 언급된 주제)
  1. - "나무의사/나무병원"이라는 직업의 발견: 거의 모든 학생이 '나무의사' 또는 '나무병원'이라는 직업이 있다는 사실을 처음 알게 되었다고 응답했습니다. (학생 1, 6, 14, 22, 91, 109, 151, 192 ) 이는 학생들에게 신선한 충격과 함께 지적 호기심을 자극한 가장 강력한 요소였습니다.

  2. - "나무도 사람처럼 아프고 치료받는다"는 의인화: 학생들이 나무를 단순한 식물이 아닌, '사람처럼 아프고, 주사를 맞고, 약을 먹는' 존재로 인식하게 된 것이 매우 효과적이었습니다. (학생 2, 11, 16, 27, 35, 72, 125, 203) 이 비유는 학생들이 나무의 상태에 감정적으로 이입하고 쉽게 이해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나. '루페(돋보기)'를 활용한 체험 활동의 압도적 인기
  1. - 관찰의 재미: 루페를 이용해 나뭇잎, 벌레 등을 자세히 관찰하는 활동은 학생들에게 매우 신기하고 재미있는 경험을 선사했습니다. (학생 68, 69, 70, 183, 210)

  2. - 선물로서의 가치: 루페를 선물로 받았다는 점에 큰 만족감을 표현한 학생들이 많았습니다. (학생 19, 64, 67, 75, 105) 이 선물은 프로그램의 긍정적 기억을 강화하고, 앞으로도 자연을 관찰하도록 유도하는 훌륭한 매개체가 되었습니다.

 다. 구체적이고 기억에 남는 지식 전달
  1. - 소나무와 잣나무 잎 구분: '소나무 잎은 2, 잣나무 잎은 5'라는 구체적인 정보는 많은 학생이 인상 깊게 기억하고 있었습니다. (학생 7, 45, 46, 47) 이는 복잡하지 않고 명확한 사실적 지식이 교육적으로 매우 효과적임을 보여줍니다.

  2. - 나무 치료 방법: 나무 주사(수액), 막대 비료 등 구체적인 치료 방법을 직접 보거나 들은 것이 학생들의 이해를 도왔습니다. (학생 20, 59, 121, 133)

  3. - 학교 교목/교화: 자신의 학교를 상징하는 나무와 꽃에 대해 알게 된 것도 소속감과 연계된 좋은 학습 경험이었습니다. (학생 4, 15, 20)

 라. 학생들의 인식 및 태도 변화 유도
  1. - 나무의 소중함 재인식: "나무도 생명이다", "소중하게 대해야겠다" 등 나무를 생명체로 존중하고 보호해야겠다는 태도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났습니다. (학생 9, 12, 21, 62, 76, 166, 197)

  2. - 미래에 대한 동기 부여: 일부 학생들은 '나무의사가 되고 싶다'거나, 앞으로 식물을 직접 키우고 치료해보고 싶다는 장래 희망과 관심을 표현했습니다. (학생 7, 53)

 

2. 주제별 상세 분석

 

주제 1: 새로 알게 된 사실 (지식 습득)

 빈도: 가장 높은 빈도로 언급됨.

 주요 내용

  1. - 나무의사, 수목치료기술자, 나무병원이라는 직업의 존재 (100회 이상)

  2. - 나무도 병에 걸리고 아프다는 사실 (40)

  3. - 소나무(2)와 잣나무(5)의 차이 (10)

  4. - 나무 치료 방법 (나무 주사, 막대 비료 등) (15)

  5. - 우리 학교 교목, 교화 (3)

 

주제 2: 활동 및 교구에 대한 반응

 빈도: 높음.

 주요 내용 

  1. - 루페(돋보기): '재미있다', '신기하다', '선물로 줘서 좋다' 등 매우 긍정적 (20)

  2. - 체험 활동: 나무 주사 놓기, 야외 관찰 등이 재미있었다는 의견 (10)

  3. - 강사/수업 방식: '설명을 잘해준다', '재미있다', '친절하다' 등 강사에 대한 긍정적 피드백 (10)

  4. - 퀴즈 및 선물: 퀴즈를 맞히고 선물을 받는 것에 대한 즐거움 (학생 37, 128)

 

주제 3: 감정 및 태도 변화

 빈도: 높음.

 주요 내용

  1. - 긍정적 감정: '재미있었다', '신기했다', '좋았다', '또 하고 싶다' 등 전반적인 만족감 표현 (100회 이상)

  2. - 인식 변화: 나무를 '소중히 여기게 되었다', '사랑하게 되었다', '보호해야겠다'고 느낌 (30)

  3. - 장래 희망: 나무의사, 수목치료기술자가 되고 싶다는 생각 (학생 7, 53)

 

주제 4: 아쉬운 점 및 건의사항 (소수 의견)
  1. - 벌레: 야외 활동 시 벌레 때문에 불편했다는 의견 (학생 33, 50)

  2. - 날씨: 비가 와서 실내에서 진행한 것에 대한 아쉬움 (학생 90, 205, 222)

  3. - 회의적 시각: 수업은 재미있었지만, 이것이 정말 도움이 되었는지는 의문이라는 비판적 의견 (학생 153)

  4. - 활동의 어려움: 화본끈 만들기가 어려웠다는 의견 (학생 82)

 

3. 결론 및 제언

 
결론

 본 프로그램은 '나무의사'라는 독창적인 소재와 '루페'라는 효과적인 교구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흥미를 성공적으로 이끌어냈습니다. 이를 통해 나무를 생명체로 인식하게 하고, 자연을 소중히 여기는 태도 변화까지 유도한 매우 우수한 생태 교육 프로그램으로 평가됩니다. "또 하고 싶다", "내년에 꼭 오세요"라는 반복적인 요청은 프로그램의 높은 만족도를 증명합니다.

 

 제언 (Recommendations)
  1. - 핵심 콘텐츠 강화: '나무의사'라는 직업 소개와 '나무도 사람처럼 아프다'는 의인화 접근법은 프로그램의 정체성이므로 계속 유지하고 강화해야 합니다.

  2. - '루페' 활용 극대화: 루페는 단순한 선물을 넘어, 학생들의 탐구심을 자극하는 최고의 교구입니다. 루페를 활용한 추가적인 관찰 미션(: '우리 학교에서 가장 아파 보이는 나뭇잎 찾아보기')을 부여하여 활동을 심화시킬 수 있습니다.

  3. - 기억에 남는 지식 추가: '소나무/잣나무 잎 개수'처럼 간단하고 명확한 사실적 지식은 학생들의 성취감과 기억에 큰 영향을 줍니다. '진달래(꽃 먼저)와 철쭉(잎 먼저)' 구분법(학생 60, 145)처럼 한두 가지의 '킬러 콘텐츠'를 더 개발하면 효과적일 것입니다.

  4. - 불편사항 관리: 야외 활동 전, "오늘은 자연의 집에 우리가 손님으로 가는 날이라 작은 벌레 친구들을 만날 수도 있어요"와 같이 사전 안내를 통해 벌레에 대한 심리적 장벽을 낮춰줄 수 있습니다.

  5. - 우천 시 프로그램 보완: 비가 올 때를 대비한 실내 프로그램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더 많은 실물 자료(다양한 나뭇잎, 병든 가지, 곤충 표본 등)를 준비하여 실내에서도 야외 활동의 현장감을 느낄 수 있도록 보완하는 것이 좋습니다.

댓글 0

답글 보기
  • 답글
답글 쓰기